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가 하남시 지하철 구간으로 확대됐다.
덕분에 이제 ‘기동카’ 한 장 들고 지하철 5호선을 타면 옛 백제의 시간이 담긴 유적지, 자연과 문화를 품은 공원 등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천호역에서 하남검단산역까지 도시의 새로운 얼굴을 만나는 산책을 떠나보자.
몽촌토성 산책로 중 몽촌호수 위에 놓인 곰말다리.
천호역
광진교 8번가
광진교 교각 아래 전망대로, 사람들이 문화 감성을 충전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유리 바닥 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한강을 조망할 수 있어 최근 데이트 코스로 인기가 많다.
주소 강동구 천호2동 527-2
광나루한강공원
광진교 남단에 자리한 공원.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물이 맑고 깨끗하며, 철새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공원 안에는 한강 헬스장 시설이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끊이지 않는다.
주소 강동구 암사동 659-1
천호동 로데오거리
천호역 사거리 일대의 번화한 쇼핑 거리. 현대백화점 천호점이 지하 통로로 연결돼 있고, 백화점 옥상에는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야외 공간(수시 변동)도 있다. 주말에는 보행자 중심 거리로 바뀌며, 밤에도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거나 상점들이 문을 열어 분위기가 활기차다.
위치 지하철 5호선 천호역 5번 출구에서 343m
풍납토성
한성 백제 시대의 대형 토성 유적. 한강 유역 백제 유적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삼국시대 토기 등이 출토되어 백제의 첫 수도 위례의 주요 성 중 하나로 추정되는 사적지로, 토성의 일부 성벽이 남아 있어 역사 산책을 즐길 수도 있다.
주소 송파구 풍납동 73-1 일대
강동역
성내동 주꾸미골목
강동구가 지정한 ‘주꾸미 특화 거리’. 약 500m 길이의 골목에 열 곳 이상의 주꾸미 전문점이 모여 있다. 특히 매콤한 주꾸미 철판볶음으로 유명하며, 주꾸미와 삼겹살을 함께 구워 먹는 별미를 즐길 수 있다.
주소 강동구 성내동
성내전통시장
강풀만화거리에서 5분 거리에 있는 전통시장. 시장 내 간판들도 만화 캐릭터 그림으로 꾸며 만화거리가 이어진 듯한 재미가 있다. 규모가 크진 않지만 구석구석 서민적 정취와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주소 강동구 천호대로162길 65
강풀만화거리
인기 웹툰 작가 강풀의 작품을 주제로 조성한 골목 벽화 거리. 강동역 4번 출구에서 약 150m 거리에 입구가 있다. 강풀의 순정 만화 시리즈와 웹툰 <무빙>의 명장면을 그린 주택가 담벼락 곳곳의 벽화들은 우리를 ‘만화 속 세상’으로 안내한다.
주소 강동구 천호대로168가길 38-3
올림픽공원역
올림픽공원 세계 평화의 문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하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 맞춰 완성한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너비 약 62m의 날개, 24m 높이, 중량감 있는 외형과 전통 곡선의 조화가 인상적이다. 문 아래엔 ‘사신도’가 그려져 있고, 앞마당에는 이승택 작가의 ‘열주 탈’ 조각 30점이 늘어서 있다. 광장은 약 2만8,000㎡규모로, 고구려의 ‘수렵도’ 모티브와 함께 문화·교육·예술 공간으로 활용된다.
주소 송파구 위례성대로 51
몽촌토성
한성 백제 시기의 토성. 지형을 활용해 축조한 성곽으로, 성벽 아래에는 해자(垓子; 적을 막기 위해 성 둘레에 물을 채운 시설) 역할을 한 성내천이 흐른다. ‘올림픽공원 언덕’으로 불리지만, 실제로는 역사와 자연이 공존하는 ‘낮은 산’이다. 정상에서는 몽촌호수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주소 송파구 올림픽로 424 일대
한성백제박물관
과거를 오늘의 언어로 말하는 건축과 전시의 합일. 백제의 흔적을 끌어낸 역사박물관으로, 한성 백제 시기의 유물과 문화를 재구성해 전시한다. ‘백제의 배’를 떠올리게 하는 조형적 구조로 건축되어 시각적 인상도 강렬하다.
주소 송파구 위례성대로 71
서울백제어린이박물관
백제 유물과 올림픽공원 일원의 고대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어린이 중심의 전시와 체험 교육을 진행한다. 한강 유역의 고대 문화와 서울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다.
주소 송파구 올림픽로 424
길동역
길동생태공원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조성된 도심형 생태공원. 도시 속 야생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고, 종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자연 학습 공간이다. 습지와 생태숲, 반딧불이 체험관 등을 갖춘 이 공원에는 2,800여 종의 생물이 서식해 자연을 관찰하고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다.
주소 강동구 천호대로 1291
일자산 허브천문공원
허브 식물원과 소형 천문대를 함께 갖춘 도심 속 복합 공원이다. 190여 종의 허브와 초화류가 계절마다 꽃을 피우는 산책길이 조성돼 있으며, 공원 바닥에 별자리 모양의 조명을 설치해 밤에는 별빛 산책로가 펼쳐진다.
주소 강동구 둔촌동 산86
고덕역
강동아트센터
푸른 잔디와 제주석이 깔린 넓은 광장을 중심으로 대공연장, 소극장, 아트 갤러리, 다목적 스튜디오, 카페 등이 조화롭게 자리한 복합문화공간. 서울 도심에서는 보기 드물게 ‘자연과 문화가 만나는 동선’까지 제공한다.
주소 강동구 동남로 870
상일동역
강동숲속도서관
명일근린공원 자락에 자리한 구립 도서관. 책을 읽으며 창밖의 숲을 바라볼 수 있는 힐링 공간으로, ‘숲 체험형 도서관’이라는 이색 콘셉트를 경험할 수 있다. 자연 채광을 살린 개방형 건물 안에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과학 특화 전시 존 등이 마련됐다.
주소 강동구 구천면로 587
강일역
고덕천 산책로
상일동역 또는 강일역에서 걸어갈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고덕천 산책로는 왜가리나 두루미 같은 새들이 찾아올 만큼 맑은 물을 자랑한다. 특히 산책로 전체에 개나리, 조팝나무 외에도 벚꽃나무가 심겨 있어 봄철 벚꽃 명소로도 유명하다.
주소 강동구 상일동 고덕천
미사역
미사경정공원
약 2.2km의 조정 호수를 중심으로 잔디 광장과 산책로, 자전거 하이킹 코스, 어린이 놀이 시설 등이 자리한 친환경 수변 공간이다. 호수 주변에는 텐트나 돗자리를 펴고 여유롭게 휴식을 취하는 사람이 많고, 주말이면 피크닉을 즐기는 시민들로 북적인다. 봄가을에는 호수 둘레를 따라 자전거를 타는 이용객이 많다. 조정 체험 프로그램이나 소규모 경기 이벤트도 열린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505
하남풍산역
하남역사박물관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바탕으로 하남의 역사를 소개하는 공립 박물관이다. 2004년 개관 이후 선사시대부터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현대까지 지역사를 아우르는 상설 전시를 운영할 뿐 아니라 하남시 덕풍동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유물 보존·전시 기능을 한다. 건물 외부에는 고인돌과 비석 등 실물 유물이 배치되어 야외 역사공원의 기능도 겸한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로 30
덕풍천 생태공원 당정뜰
덕풍천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 조성된 도심 속 수변 생태공원. 메타세쿼이아 길을 따라 산책하거나 자생식물이 식재된 연못 주변을 거닐 수 있으며, 벚꽃 명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전거도로와 보행로, 갈대밭, 조류 관찰대, 푸드 트럭 등이 어우러져 산책과 휴식, 생태 체험을 모두 누릴 수 있는 공간이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2-13
하남시청역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911석)과 소극장(355석) 등을 갖춘 복합 문화시설로, 하남시의 문화 거점 역할을 한다. 클래식 음악회·연극·뮤지컬·발레 등 다양한 공연과 미술·사진 등의 시각예술 전시를 열어 지역 주민에게 수준 높은 예술 향유의 기회를 선사한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신평로 125
하남검단산
스타필드 하남
2016년 개장한 국내 최대 규모의 복합 쇼핑몰. 쇼핑과 식음료, 문화와 레저 활동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대형 마트, 패션 몰, 영화관, 키즈 파크 등이 있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750
하남 유니온파크와 타워
자원 순환 시설 위에 세운 105m 높이의 전망 타워로, 하남을 조망하는 명소다. 전망대에 오르면 한강과 검단산, 하남 시가지까지 탁 트인 풍경이 펼쳐지며, 내부에는 물환경학습관 등 전시 공간도 있어 환경 교육의 기능까지 수행한다.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710
+ 하남시 지하철도 기후동행카드로!
8월 9일부터 기후동행카드 이용 범위가 하남시 지하철 구간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5호선 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 4개 구간에서도 기동카를 이용한 승하차가 가능해졌다. 요금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30일 기준 일반권종 6만 원대, 청년권종 (만 19~39세) 5만 원대로 동일하다.
글 김용준 사진 김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