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부산 남자의 서울 낭만 적응기

부산 남자의 서울 낭만 적응기>
2019.09

에세이

나의 서울

김도훈

부산 남자의 서울 낭만 적응기

음성·문자 지원

서울에 정 붙이기

서울이란 도시는 아직도 나에겐 탐구 대상이다. 그건 내가 서울 출신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부산에서 자랐다. 마음이 적적할 땐 시내버스를 타고 광안리나 해운대로 갔다. 부산이라는 도시의 장점은 당연히 바다다. 짭조름한 대기가 느껴지는 바닷가에 도착하면 친구들과 와인병을 모래밭에 꽂아놓고 이야기를 나눴다. 그건 인구가 400만에 가까운 도시에서 누릴 수 있을 법하지 않은 완벽한 자유였다. 취업을 위해 서울로 거주지를 옮기자 마음이 갑갑해졌다. 바다가 없는 탓이었다. 사람들은 “한강에 가봐”라고 말했다. 부산 출신의 30대 초반이었던 나에게 한강은 바다와 비교할 수 있는 장소는 아니었다. 사방이 아파트로 둘러싸인 한강은 어쩐지 좀 답답했다. ‘수평선을 볼 수 없는 물은 물이 아니다!’라고 서울 초보자는 속으로 생각했다. 비록 지금은 한강을 품을 만한 넉넉한 마음을 가진 서울인으로 다시 태어났지만, 부산에서 갓 상경한 남자는 마음이 꽤 좁았던 것이다.

부산을 고향으로 둔 서울 남자는 복이 꽤 많은 편이라고 해도 좋겠다. 서울이란 도시에서 삶을 꾸려나가다가 탈출이필요하면 부산으로 내려갈 수 있으니 말이다. 서울과 부산 사이의 절충점이라고 해야 할까. 그러나 서울을 진정으로품기 위해서는 부산에 대한 열망을 버려야만 한다. 바다에 대한 열망을 마음으로부터 걷어내야만 한다. 내가 마침내서울을 온전히 나의 도시로 품게 된 이유는 고양이 덕분이었다. 홍대 앞에서 주워온 고양이를 키우면서 나는 생각했다. ‘이제 영락없이 서울에 완전히 발이 묶이게 생겼군.’ 후회한 게 아니다. 나는 짐짓 기뻤다. 내가 서울이라는 도시에서 오래오래 살며 책임지고 길러야 할 가족이 생겼다는 이야기니까 말이다. 그러니까 나는 고양이를 입양하면서 비로소 서울에 어울리는 서울의 어른이 된 셈이다.

서울에 정을 붙이기 시작하자 서울은 재미있어졌다. 서울은 크고, 거칠다. 언제나 무언가가 새로 지어지고 있다. 언제나 새로운 가게가 사라지고 또 생겨난다. 언제나 새로운 사람들이 들어오고 또 나간다. 부산의 모토가 ‘다이내믹 부산’이라지만, 진정으로 다이내믹한 도시를 하나만 꼽으라면 역시 서울일 수밖에 없다. 나의 30대는 이 모든 변화에 적응하며 사는 기간이었다. 때로는 코를 잡고 “이놈의 미세먼지 구덩이에서 나는 용케 살아가고 있구나”라고 불평 하지만, 때로는 눈을 크게 뜨고 “이놈의 거대한 시멘트 덩어리도 이토록 즐거울 수 있구나”라고 감탄하게 됐다. 서울은 언제나 움직이는 고속도로 같아서 그 위에 실린 채 질주하는 즐거움이 있다.

다정하게 불러보는 나의 서울

그 질주가 잠시 멈추는 순간도 있다. 명절이다. 나는 명절에 부산에 내려가지 않는다. 고양이를 돌봐줄 친구를 찾기 힘들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내 가족은 명절에 꼭 서로의 얼굴을 봐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덕분이기도 하다. 그래서 명절은 온전히 나 자신과 고양이 한 마리만이 오붓이 여유로움을 찾는 기간이 됐다. 나는 명절의 서울을 좋아한다. 굉장한 속도로 지어지고 움직이고 요동치던 모든 것이 갑자기 멈춰 선다. 강남대로와 강변북로는 더는 막히지 않는다. 나는 모두가 어디론가 떠나버린 텅 빈 대로에서 평소에는 느낄 수 없는 묘한 안도감을 느낀다. 고양이와 함께 아파트 베란다에서 텅 빈 마포대로를 바라보는 건 나의 즐거움 중 하나이기도 하다. 평소에는 자동차와 사람으로 가득하던 도로는 조용하다 못해 고요해지니까 말이다.

누군가는 말할 것이다. 마흔이 넘어 이 거대한 도시에서 동물 한 마리와 홀로 명절을 보내며 살아가는 삶은 조금 외롭지 않겠냐고 말이다. 나는 그 질문에 분명히 “외롭다”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다. 확실히 이 삶은 조금 외롭다. 좀 더 나은 단어로 표현하자면 고독하거나 고즈넉하다. 아마 나는 오십 줄이 되어서도 고양이와 외롭고 고독하고 고즈넉하게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그건 동시에 나 자신의 삶에 집중할 수 있는, 목표가 분명한 삶이기도 하다. 서울의 삶은 저마다 다르다. 누군가는 사람으로만 이루어진 작은 가족을 꾸리며 살아간다. 누군가는 사람이 없이 동물과 가족을 이루고 살아간다. 형태는 다르지만 그 모든 것은 가족이라는 단어로 묶을 수 있다. 서울은 그 다양한 얼굴의 가족을 모두 품고 있는 도시다.

사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 고양이와 대화를 하고 있다. 고양이에게 “외롭냐?”고 물었더니 서울에서 11년을 살아온 대도시의 고양이답게 한 치의 어긋남도 없는 자세로 대답했다. “야옹.” 나는 온갖 의미가 담긴 ‘야옹’이라는 말을 곱씹으며 다시 마포대로를 내려다봤다. 대로는 퇴근하는 자동차들로 가득하다. 퇴근하는 직장인들의 물결로 가득하다. 학교 운동장에서 저녁까지 뛰어노는 아이들의 재잘거림으로 가득하다. 나무에 붙어서 마지막 숨을 내뿜고 있는 매미의 울음소리로 가득하다. 새롭게 지어지는 아파트가 내뱉는 가벼운 소음으로 가득하다. 나는 서울에 산다. 서울은 오늘도 나의 삶을 압도하는 에너지를 뿜어내며 질주한다. 나는 올 추석에도 고양이와 서울에서 보낼 예정이다. 고양이를 위한 특식을 준비할 것이다. 아마도 나는 문 닫은 식당가를 전전하다가 데우기만 하면 되는 간편한 음식으로 명절을 견뎌낼 것이 틀림없다. 그렇게 명절을 보내고 나면서울은 다시 사람과 자동차로 가득 찰 것이다. 나는 그게 못내 아쉬웠다는 듯이 “이게 서울이지”라고 말하며 아파트 베란다에서 고양이와 함께 마포대로를 내려다볼 것이다.

김도훈

김도훈
<허프포스트코리아> 편집장인 그에게 서울은 ‘신경질적인 도시’이지만,
그 도시를 사랑하며 사는 법에관한 이야기를 하며 서울에서 낭만을 찾고 있다.
마산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라고 영국을 거쳐 서울에 를 잡은 그는
지금도 한강이 보이는 마포에서 반려묘와 생활하고 있다.

사진 장성웅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