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2025 달라지는 서울 생활

2025 달라지는 서울 생활>
2025.01

생활

서울 생활 정보

신년 기획

2025 달라지는 서울 생활

음성·문자 지원

2025년, 푸른 뱀의 해가 시작되었다. 서울시가 제공하는 지원이나 제도도 새로운 옷을 입고 시민들을 기다리고 있다.
‘동행·매력특별시 서울’이라는 슬로건에 맞춰 더 따뜻하게,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서울의 변화를 모두 모아 소개한다.

동행특별시 / 저출생ㆍ양육

서울형 키즈카페 시립 뚝섬자벌레점

서울형 키즈카페 시립 뚝섬자벌레점.

서울형 키즈카페 확대 운영 2025년

2025년, 서울시는 아이들이 재미있고 안전하게 놀며 돌봄까지 가능한 실내 놀이 공간인 ‘서울형 키즈카페’를 200개소까지 확대 운영한다.
누리집 우리동네키움포털(icare.seoul.go.kr)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운영 4월

맞벌이 부부의 아침 시간대 돌봄 공백을 해소하고자 2025년에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25개소에서 아침 시간 등교 준비를 돕고, 학교까지 안전하게 동행한다.
누리집 우리동네키움포털(icare.seoul.go.kr)

보라매공원 복합문화공간 조감도

보라매공원 복합문화공간 조감도.

보라매공원 복합문화공간 조성 5월

보라매공원에 있던 동부공원여가센터 청사가 서울숲으로 이전한 이후 남겨진 건축물을 리모델링해 조성하는 다목적 복합문화공간으로, 어린이(가족) 중심의 놀이 및 여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누리집 서울의 공원(parks.seoul.go.kr)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 상반기

서울시에 거주하며 자녀를 낳은 무주택 가구에 전세 이자와 월세 등 주거비를 지원해 출산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자녀 양육 환경 조성을 돕는다.
누리집 몽땅정보 만능키(umppa.seoul.go.kr)

장기전세주택Ⅱ 미리 내 집 공급 확대 2025년

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주택과 연계해 장기전세주택Ⅱ(미리 내 집) 공급을 확대함으로써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고, 출산을 장려한다.
누리집 SH서울주택도시공사(i-sh.co.kr)
문의 1600-3456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출산 급여 지원 3월

혼자 일하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임산부도 아이를 낳고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요건을 충족하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 임산부에게 90만원의 출산 급여를 지원한다.
누리집 몽땅정보 만능키(umppa.seoul.go.kr)

1인 자영업자 등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3월

산모를 돌보고 아이와의 소중한 순간을 함께할 수 있도록 서울시에 거주하는 1인 자영업자·노무 제공자·플랫폼 종사자·예술인·프리랜서 등 아빠에게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80만 원을 지원한다.
누리집 몽땅정보 만능키(umppa.seoul.go.kr)

서울 어린이미래활짝센터

서울 어린이미래활짝센터.

서울 어린이미래활짝센터 개관 9월(예정)

어린이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진단하고, 마음을 보듬어주는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린이 전용공간을 강서구 화곡역 인근에 조성하고 맞춤형 프로그램, 힐링 공간 등을 운영한다.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지원 확대 1월

서울시 희망플러스·꿈나래통장 가입으로 중복지원이 불가했던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및 차상위계층(차상위, 한부모)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지원 사업을 확대 시행한다.

동행특별시 / 복지ㆍ건강

안심돌봄 120 돌봄전문콜센터 운영 2024년 11월

사회복지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 상담원이 돌봄 대상자의 중증도, 돌봄 난이도 등에 맞는 돌봄 종류, 신청 자격, 절차를 종합적이고 자세하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용 방법 120전화 후 3번(안심돌봄) 또는 직통 번호(1668-0120)

외로움 안녕 120 운영 4월

24시간 상담 콜센터를 운영해 대상자와 1차 기초 상담 후 적합한 기관으로 서비스를 연계하고, 위기 가구 발견 시 관할 동주민센터와 협업해 위기 개입 모니터링 및 사례 관리를 시행한다.
이용 방법 120다산콜센터로 전화 연결 후 외로움 안녕 102 상담 번호(추후 결정) 누름

365 서울챌린지 3월

서울시 추진 사업과 민간 기업 활동 등을 챌린지 형태로 엮어 시민의 다양한 문화 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서울시민의 건강과 삶의 활력을 되찾아주고 외로움을 예방한다.

서울마음편의점 시범 운영 3월

외로움을 느끼는 시민 누구나 방문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상담 및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소통 및 상담 공간. 고립 위험도 진단, 고립 회복 당사자 상담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별관 개관 2024년 12월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 별관을 건립해 청각·언어장애인에 대한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각·언어장애인과 가족, 난청인, 지역사회 주민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누리집 시립서대문농아인복지관(sdeaf.org)
상담 및 문의 02-3156-6602

서울시 보훈 수당 지원 확대 1월

국가유공자 및 유족에 대한 예우와 지원 강화를 위해 서울시 참전명예수당(만 80세 이상 월 20만원, 만 80세 미만 월 15만 원)과 보훈예우수당(월 15만 원)을 인상하고, 생활보조수당(월 20만 원)의 지급 대상을 전 연령으로 확대하며, 국가유공자 사망 위로금(20만 원)을 신설한다.

핏 스테이션

핏 스테이션.

‘뚝섬역 핏 스테이션’ 조성 2024년 12월

지하철 2호선 뚝섬역 역사에 ‘핏(Fitness) 스테이션’을 조성하고 운동과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해 서울시민이 일상 공간에서 편리하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스타그램 @goodhabit_seongsu

한강 헬스장(강서한강공원 가족 피크닉장 앞)

한강 헬스장(강서한강공원 가족 피크닉장 앞).

한강 헬스장 운영 2024년 12월

광나루·강서한강공원에 ‘한강 헬스장’을 개장하고 한강공원 내 야외 운동 공간을 개선해 다양한 연령층의 ‘핫플’로 탈바꿈시킨다. 단순히 운동기구를 갖춘 공간이 아니라 근력 운동 중심의 한강 헬스장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월드컵공원 파크골프장 18홀 추가 확충 9월

월드컵공원의 기존 파크골프장 18홀과 연계하는 18홀을 추가로 조성해 서울시 최초 36홀 규모의 파크골프장을 2025년 9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누리집 서울의 공원(parks.seoul.go.kr)

산업단지 다목적 체육관 개관 3월

G밸리 산업단지 내 기업 종사자 등을 위한 생활체육 및 문화 공유 인프라를 조성해 산업단지 내 지원 시설 부족을 해결하고, 경제·사회·문화적 활성화를 유도한다.
이용 예약 구로구시설관리공단(gurosisul.or.kr)

서울형 긴급치료센터(UCC) 운영 2024년 11월

응급실 이용이 어려운 경증 응급 환자가 야간과 휴일에도 안심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긴급 치료센터를 운영한다. 현재 2개의 병(의)원이 지정되어 있으며, 이를 점차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질환별 전담 병원 운영 2024년 11월

응급실 이용이 어려운 특정 질환자가 매일 24시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질환별 전담 병원(외과)을 운영해 응급실 수용 곤란이 많이 발생하는 외과계 질환을 대상으로 적정 치료를 제공한다.

아동 치과 주치의 사업 3월

초등학교 4학년만 대상이었던 학생 치과 주치의 사업이 정부의 아동 치과 주치의 건강보험 사업으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대상 학생이 초등학교 1·2·4·5학년으로 확대된다.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1월

질병과 부상에도 생계 걱정 때문에 제때에 치료받지 못하는 노동 약자를 위해 입원·검진 기간의 소득 공백을 지원해 건강 악화를 예방하고, 경제적 안정을 도모하도록 입원 생활비 지원 규모를 1일 9만 4,230원으로 확대한다.
누리집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sickleave.seoul.go.kr)
문의 120다산콜재단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

동행특별시 / 청년ㆍ중장년ㆍ노년

대학생 동아리 사회 기여 활동 지원 사업 상반기

서울시 5대 시정 가치와 연계한 사회 기여 활동에 대학생 동아리 청년들이 참여할 경우 최대 200개 동아리에 최대 220만 원의 활동비를 보조해 사회 공동의 가치와 연대 협력 활동을 지원한다.
누리집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
인스타그램 @youthseoul.official

의무 복무 제대 군인에 대한 청년 정책 우대 지원 1월

의무 복무를 마친 제대 군인의 복무 기간을 고려해 최대 3년 범위에서 청년 정책 참여 대상자 연령 상한을 연장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의무 복무 기간만큼 청년 정책의 혜택을 연장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청년취업사관학교 신규 캠퍼스 개관 1월

청년들에게 취업에 필요한 디지털 신기술 분야 실무 맞춤형 교육 및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청년취업사관학교가 신규 캠퍼스 5개소(중랑, 양천, 구로, 서초, 송파)를 추가 개관해 운영한다.
누리집 청년취업사관학교(sesac.seoul.kr)

서울청년센터 성북 조감도

서울청년센터 성북 조감도.

서울청년센터 성북 개관 상반기

청년들의 생활권 가까이에서 청년 수요에 맞는 실질적 지원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공공 자원 접근성을 향상해주는 시설인 ‘서울청년센터 성북’이 2025년 상반기 성북구 종암동에 개관한다.

자립준비청년 자립 지원 사업 확대 1월

보호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자립준비청년의 안정적 자립 준비 및 자립 실현을 위한 ‘자립 지원 마스터플랜’을 추진한다.
누리집 서울특별시 자립지원전담기관(sjarip.or.kr)
인스타그램 @seoul_jarip
상담 및 문의 02-2226-1524

서울 중장년 가치동행일자리 2025년 1월

사회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중장년 세대에 사회공헌 일자리를 제공하고, 소정의 활동비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누리집 서울시50플러스포털(50plus.or.kr)

중장년 일자리박람회 전경

중장년 일자리박람회 전경.

중장년 일자리박람회·잡 페어 운영 확대 7월

중장년 일자리 지원 강화를 위해 일자리박람회를 확대하고, 권역별 5개 캠퍼스를 중심으로 지역 일자리 발굴과 매칭을 진행하는 ‘중장년 잡 페어’를 새롭게 운영한다.
누리집 서울시50플러스포털(50plus.or.kr)

시니어일자리지원센터 개소 1월

어르신의 구직 역량을 강화하는 취업 교육을 제공하고, 어르신 맞춤형 민간 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취업과 연계시켜 어르신의 사회 참여를 지원한다.
누리집 서울시50플러스포털(50plus.or.kr)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확대 1월

지역사회의 치매 돌봄 역할 강화와 치매 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도모하고자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을 확대한다.
문의 각 자치구 치매안심센터

서울시민대학 ‘다시 가는 캠퍼스’ 개관 상반기

학령기 이후 필요한 영역을 학습하고 싶은 시민을 위해 전 세대를 위한 인문 교양·직업 역량 기반 정규 과정과 4050~6070 세대를 위한 특화 과정 등의 교육 및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한다.
누리집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slei.seoul.kr), 서울시평생학습포털(sll.seoul.go.kr)

‘다시 가는 학교 7학년 교실’ 확대 운영 3월

노년층 삶의 활력과 동기를 증진하는 건강·교양·문화·예술 등 통합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다시 가는 학교 7학년 교실’ 사업을 확대운영한다.
누리집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slei.seoul.kr), 서울시평생학습포털(sll.seoul.go.kr)

동행특별시 / 안전

안심 물품(헬프미, 안심경광등) 지원 사업 상반기

이상 동기 범죄 등으로부터 서울시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안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안심 물품(헬프미, 안심경광등)을 확대 지원한다.

초등학생 휴대용 안심벨 지원 상반기

서울시는 초등학교 1·2학년에게 휴대용 안심벨을 지원해 긴급 상황 시 경고음을 주변에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 안심벨은 서울시 캐릭터(해치, 청룡) 모양의 키 링 형태로, 비상시 누르면 경고음이 발생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민방위 대피소 관리·안내 강화 1월(계속)

국가 비상 상황 발생 시 네이버·다음·국민재난안전포털·서울안전누리, 안전디딤돌 앱·네이버 지도·카카오맵·티맵에 들어가 ‘민방위 대피소’를 검색하면 현재 내 위치를 중심으로 가까운 대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민방위 대피소 내 비상용품을 추가 비치한다.
누리집 국민재난안전포털(safekorea.seoul.go.kr), 서울안전누리(safecity.seoul.go.kr)

전기·통신선 지중화 사업 1월

14개 지역의 통학로, 전통시장, 노후 산업단지 주변에 전선·전봇대가 없어져 생활이 안전해지고, 도심 및 주택가에 탁 트인 하늘 경관을 제공한다.

매력특별시 / 문화ㆍ관광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조감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조감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거점 공간 확대 1월

서울의 지천을 문화와 감성이 흐르는 매력 공간으로 조성해 지역을 활성화하는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활력 거점을 서울 전역으로 확대 조성한다.

여의도 유람선터미널 개관 5월 예정

한강에 다양한 선박이 동시 정박할 수 있는 유람선터미널이 조성되어 2025년부터는 여의도에서 경인아라뱃길까지 유람선 관광을 할 수 있다. 2026년부터는 서해 도서까지 수상 관광이 가능해져 서울시민의 여가 생활이 더욱 풍성해질 전망이다.

청계천 야간 경관 개선 추진 10월

2025년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첨단 조명 기술을 활용해 청계천을 서울의 대표 야간 명소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도심 상권을 활성화하며, ‘펀 라이트 시티(Fun-Light-City)’라는 서울형 야간 관광도시를 구현한다.

암사초록길 시민 개방 2월

광나루한강공원~서울 암사동 유적지를 잇는 ‘암사초록길’을 조성하고 시민들에게 전면 개방했다. 한강공원과 암사동 유적지를 잇는 새로운 녹지 공간 조성으로 생태 네트워크 구축이 기대된다.

새로운 독서 문화, 서울야외도서관 시즌3 4월

서울야외도서관이 누구나 취향에 따라 온·오프라인 경계를 넘나들며 독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공 북 클럽 ‘힙독클럽’을 전국 최초로 운영하며 ‘서울야외도서관 시즌3’로 돌아온다.
누리집 서울야외도서관(seouloutdoorlibrary.kr)

제2회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5월

수영·자전거·달리기 3종 경기로 한강의 매력을 즐기는 축제. 한강의 특별함과 건강 프로그램을 더해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스포츠 축제로 주목받고 있다.
인스타그램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공식 인스타그램(@sium_×2)

2025 서울 익스트림 스포츠 페스티벌 9월

도심형 스포츠 종목 대회 및 체험행사를 통해 누구나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한다. 브레이킹 등 국제대회 개최, 강습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DDP 루프탑 투어 운영 4월

세계적 랜드마크인 DDP의 지붕을 걸으며 서울 도심을 마주할 수 있는 ‘DDP 루프탑 투어’를 정식 운영한다. 동대문, 남산 등 DDP 주변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해설도 포함한다.
누리집 DDP(ddp.or.kr)
인스타그램 @ddp_seoul

2025 서울색을 활용한 굿즈

2025 서울색을 활용한 굿즈.

2025 서울색·서울빛 2025년

‘2025 서울색’은 길고 푸르렀던 2024년 서울의 여름 저녁 가로수에서 추출한 ‘그린오로라(Green Aurora)’다. 그린오로라색에는 서울 여름밤의 정취와 초록의 안정감이 담겨 있다.
누리집 서울의 색(seoul.go.kr/seoul/color.do)

서울형 흡연 부스 디자인 개발 2025년

‘즐거운 활력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서울형 흡연 부스’ 디자인을 개발하고, 흡연 관련 민원 다발 지역에 시범 설치 후 자치구로 확산할 예정이다.

서서울미술관 개관 7월

서남권 최초 공공 미술관이 될 서서울미술관은 뉴미디어 특화 전시와 공연, 청소년 예술교육 특화 콘텐츠를 운영해 시민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풍납동 토성 안내센터 조성 하반기

백제 초기 왕성 유산의 가치를 공유하고 향유하는 유산 현장 거점 시설인 ‘풍납동 토성 안내센터’를 조성해 운영한다. 카페, 옥상정원 등의 휴게 공간도 갖출 예정이다.

서울예술인지원센터 기능 확대 1월

서울에서 활동하는 예술인의 삶과 창작 활동 기반을 마련하며, 예술인의 사회 안전망 지원 체계를 구축해 지속 가능한 창작 활동을 돕는다.
누리집 서울예술인지원센터(sfac.or.kr/sasc)

매력특별시 / 환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안전시설 지원 2월

주거용 지하 주차 공간 등에 전기차 화재 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재산·인명 피해를 줄이고자 현장 여건에 맞게 조기 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교체,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 등 안전시설 개선에 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재생 열 공사 보조금 시범 지원 1월

연면적 3만㎡ 이상 비주거 건물 신축 시 지열·수열 등 재생 열 이용 시설을 일정 기준 이상 설치하면 공사비의 15%(최대 2억 원)를 지원한다.

성북구 리앤업사이클플라자 개관 3월

새활용 문화확산을 위한 교육, 전시 등 지원 및 중고물품 수리, 판매를 지원하는 재활용센터, 수리공방을 ‘성북 리앤업사이클플라자’에서 운영한다.

매력특별시 / 경제ㆍ일자리

새 길 여는 폐업 지원 3월

늘어나는 소상공인 폐업률에 대비해 폐업 결정부터 폐업 이후까지 모든 단계에 걸쳐 소상공인이 안전하게 폐업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한다.
누리집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seoulsbdc.or.kr)

로컬 브랜드 상권 생태계 조성 상반기

서울시 상권의 균형 발전과 활력 회복을 위해 매년 신규로 선정하는 상권을 2배 확대하고, 상권 내 고객 유인 효과가 큰 핵심 점포로 집중 육성한다.
인스타그램 @localbrand_seoul

프리랜서 에스크로 시범 사업 상반기

에스크로 시스템을 통해 안전한 대금 거래를 제공하고, 분쟁 발생 시 분야별 전문가 자문단을 통한 상담·합의를 지원한다.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프리랜서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누리집 서울노동포털(seoullabor.or.kr)

서울뷰티허브 개관 상반기

디자인, 유통, 수출의 전 과정을 통합 지원하는 뷰티 스타트업의 성장 지원 센터 ‘서울뷰티허브’가 DDP 패션몰 3층에 개관한다.

외국인 취업·채용 박람회 하반기

기업·대학·연구 기관 등과 협업해 국내 정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취업·채용 박람회를 개최함으로써 외국인의 안정적 정착과 경제 활력을 도모한다.

30일간의 서울 일주 상반기

서울시가 외국 인재에게 긍정적인 서울 경험과 필요시 취·창업 교육을 제공해 외국 인재의 안착을 지원한다. 2025년 3월 취·창업에 관심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 모집 공고 예정이다.
신청 방법 3월 참여자 모집 공고 예정

서울글로벌센터 운영 1월

정주 외국인 원스톱 지원 센터로 출범, 외국인 대상 생활 상담과 법률·세무 등 전문가 컨설팅, 한국어 교육 등을 추진하는 외국인 종합 지원기관으로, 변화한 대외 환경을 반영해 운영한다.
누리집 서울외국인포털(global.seoul.go.kr)
문의 02-2075-4180

매력특별시 / 교통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 지원 확대 상반기

카드 한 장으로 지하철, 버스, 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군 의무 복무 기간만큼 청년 할인 혜택을 연장한다. 후불 기후동행카드 사용(2024년 11월 시행)은 물론 더 많은 지역, 더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누리집 티머니 카드 & 페이(pay.tmoney.co.kr)

한강버스

한강버스

한강버스 정식 운항

2025년 봄, 한강 총 7개 선착장에서 새로운 수상교통수단인 ‘한강버스’를 정식 운항한다. 마곡 ↔ 망원 ↔ 여의도 ↔ 잠원 ↔ 옥수 ↔ 뚝섬 ↔ 잠실 구간을 양방향 편도 운항하며, 급행 노선은 마곡 ↔ 여의도 ↔ 잠실이다.

빨간불 남은 시간 알려주는 보행 신호등 확대 설치 1월

보행자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빨간불의 남은 시간을 알려주는 보행 신호등을 왕복 6차로 이상 횡단보도에 우선 설치한다.

교통약자 동행 자율주행버스 도입 시범 사업 7월

첨단 교통 활용으로 교통 소외 지역 거주민과 사회적 약자(교통약자 등)의 이동 불편 해소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3개 자치구(동대문구, 동작구, 서대문구)와 서울시 간 협업 체계로 자율주행 마을버스를 시범 운영한다.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 관리 강화 2025년

2025년부터 킥보드 없는 거리가 확대된다. 보행자 우선 도로, 어린이보호구역 등 보행 안전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다발 도로 구간을 선정할 계획이다.
개인형 이동장치(PM) 주정차 위반 신고 시스템 seoul-pm.eseoul.go.kr
개인형 이동장치(PM) 안내 서울시 누리집에서 ‘개인형 이동장치’ 검색

지하철역 고객 대기실 ‘동행 쉼터’ 설치 7월

동절기·하절기에 바깥 공기의 영향을 받는 지상 역사 승강장에 냉난방 시설과 안전·편의 시설을 제공하는 고객 대기실 ‘동행 쉼터’를 확대·설치해 시민 편의를 높인다.
누리집 서울교통공사(seoulmetro.co.kr)

남부순환로 개봉1동사거리 평탄화 6월

남부순환로와 지역 도로 간 단차로 인한 도로 통행(횡단) 불편과 교통 체증 해결을 위해 남부순환로 도로를 평탄화해 확장하고, 횡단보도를 추가로 설치한다.

* 여기에 소개된 기사들은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에서 발췌했습니다. <2025 달라지는 서울생활> 전자책은 서울시 누리집(분야별 정보-행정-기획행정-달라지는 시정제도)과 서울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 시정정보-주요사업백서)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으며, 서울시 대표 소통 포털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수은 일러스트 조성흠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