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불꽃처럼 타오른 그날의 기억

불꽃처럼 타오른 그날의 기억>
2019.01

문화

호국 보훈

3·1운동 100주년 ① 역사의 현장

불꽃처럼 타오른 그날의 기억

아이콘

불꽃처럼 타오른 그날의 기억

2019년은 3·1운동 100주년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다.
3·1운동은 봉건 체제를 민주공화정으로, 왕토를 국토로, 백성을 국민으로 탄생시킨 역사적 혁명이다.
100년이 흐른 지금, 역사의 현장을 찾아 그날의 함성을 들어본다.



독립운동 테마 역사(驛舍)로 탈바꿈한
안국역

안국역에서 독립운동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다. 안국역은 3·1운동의 중심지 북촌과 인사동 등을 잇는 거점으로 인근에 여운형, 손병희 선생 등 독립운동가의 집터가 있다. 이를 기념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안국역을 독립운동 테마 역으로 꾸몄다. 안국역 4번 입구에 설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하이 청사 대문을 표현한 ‘100년 하늘문’을 비롯해 다양한 조형물과 기념물을 조성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독립운동가의 얼굴을 100초 동안 만날 수 있는 그래픽 ‘100년 기둥’이다. “눈부신 날이었다. 우리 모두는 불꽃이었고 모두가 뜨겁게 피고 졌다. 그리고 또다시 타오르려 한다. 동지들이 남긴 불씨로. 나의 영혼은 여직 늙지 않아서 작별 인사는 짧았다. 잘 가요동지들. 독립된 조국에서 시 유 어게인.” 인기리에 종영한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대사처럼 불꽃처럼 살다 간 독립운동가들이 2019년 ‘100년 기둥’에서 다시 만났다. 100년 기둥에는 독립운동가 800여 명의 사진을 담았는데, 한 명 한 명에게서 독립에 대한 의지와 염원을 느낄 수 있다. 지하 4층 승강장에는 안전문과 대기 의자에 독립운동가의 업적과 어록을 기록해놓았다. 김구, 안중근, 윤봉길, 유관순, 이봉창 등 출근길이나 퇴근길에 차량 칸마다 다른 독립운동가를 만날 수 있다. 대기 의자인 ‘100년 걸상’은 여덟 가지 주제로 나눠 무명의 독립운동가 이름을 새겨놓았다. 이 외에도 3·1운동과 민족사의 흐름을 강물로 구성한 영상&그래픽 ‘100년 강물’,우리 헌법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 ‘100년 헌법’을 마련했다.

주소
종로구 율곡로 지하 62

3·1운동의 중추
천도교 중앙대교당

3·1운동 배후에는 종교계의 막강한 지원도 있 었다. 인사동 삼일대로에 있는 천도교 중앙대 교당도 그중 한 곳. 당시 천도교는 ‘척왜(斥倭)’ 를 외치던 동학의 후신으로 독립운동에 매우 열 성적이었으며 3·1운동 중심에 서 있었다. 천도 교 제3대 교조 손병희 선생은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기 위해 1918년 중앙대교당 설립이라는 명 목 아래 성금을 걷었다. 이 중 일부를 중앙대교 당 건축에 쓰고 나머지는 3·1운동 자금으로 쓰 는 한편, 상하이 임시정부와 독립군 운용 자금 으로 보냈다. 보성사에서 인쇄한 독립선언문은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보관했다가 3·1운동 당일 사람들에게 나눠주었다. 천도교 중앙대교당은 3·1운동 역사의 현장이자 독립운동의 한 부분 이다.

주소
종로구 삼일대로 457

3·1운동 주역인 학생들의 아지트
승동교회


인사동 거리로 접어드는 초입에 100년 넘은 오래된 예배당,승동교회가 있다. 인사동 골목 안에 있어 눈에 띄지 않아 모르는 사람도 많다. 북적이는 인사동과 달리 고요하고 고풍스러운 외관은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하다. 1912년 지은 승동교회는 3·1운동의 주축인 학생단의 모임 장소였다. 학생 모임을 주도한 것은 승동교회에 다니던 김원벽이다. 그는 일제의 감시를 피해 교회 소학교 사무실에서 학생회 모임을 열었다. 학생들은 승동교회에서 3·1운동의 구체적 실천 계획을 논의했으며, 일본의 삼엄한 감시를 뚫고 독립선언문을 배포하기도 했다. 3·1운동으로 김원벽을 비롯한 많은 교인이 투옥되자, 당시 승동교회 차상진 목사도 조선의 독립을요구하는 ‘12인의 장서’를 과감히 조선총독부에 제출하고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그 후 승동교회는 일본 경찰이 압수 수색을 하는 등 수난을 겪어야 했다. 1993년 ‘3·1독립운동 유적지’로 지정된 것을 기념해 교회 마당 한편에 3·1독립운동기념 터 표지석을 세웠다.

주소
종로구 인사동길 7-162

학생과 시민이 자체적으로 독립선언식 거행
탑골공원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장소다. 민족 대표와 학생 대표는 사람이 가장 많이 모이는 종로 탑골공원에서 만나 독립만세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그러나 유혈 사태를 우려한 민족 대표는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발표했고, 아무런 통지를 받지 못한 채 탑골공원에 모여 있던 학생들과 시민들은 탑골공원 내 팔각정에서 2시 30분경 자체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군중에게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나눠주었다. 학생들은 서울에서뿐 아니라 각자 고향으로 돌아가서도 운동을 멈추지 않아 전국적인 만세운동의 도화선이 되었다. 탑골공원에는 3·1운동 벽화, 손병희 선생의 동상 등이 있어 당시의 역사를 돌아보게 한다. 탑동공원, 파고다공원으로 불리는 탑골공원은독립운동 성지로서 격에 맞는 대우를 받지 못하다가 2002년 삼일절에 성역화 작업을 거쳐 재개장했다.

주소
종로구 종로 99

3·1운동의 상징
보신각 3 ·1운동 기념 터





탑골공원에서 독립을 외친 군중은 보신각에서 일제에 항의하는 표시로 보신각종을 울렸다. 이후 보신각은 3·1운동의 상징적 구심점이 되었다. 학생단 주도로 제2차 대규모 시위가 열린 3월 5일 남대문역 광장에서 여러 갈래로 나뉜 시위대는 정오경 이곳에 모여 독립 연설회를 개최했다. 이후 4월 23일,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하는 국민대회도 이곳에서 열렸다.

주소
종로구 종로 54

유관순 열사를 기리다
유관순교실과 유관순기념관


1919년 당시 이화여고 학생이던 유관순 열사를 기리는 유관순교실과 유관순기념관이 있다. 이화박물관 안에 있는 유관순교실은 당시의 교실 모습을 재현했으며, 유관순 열사와 이화학당 학생의 모습을 영상으로 상영한다. 유관순기념관은 수의를 입은 열사 사진을 비롯해 일제강점기의 참상을 담은 사진과 열사가 남긴 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다. 기념관 근처에는 열사의 동상과 열사가 빨래를 했다는 유관순 우물 터가 있다. 아쉽게도 유관순기념관은 일반인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화박물관은 일요일, 월요일, 법정 공휴일을 제외하고 언제든지 관람할 수 있다.

주소
위치 중구 정동길 26

가장 치열했던 거사 장소
선은전 광장 3 ·1독립운동 기념 터

탑골공원에서 종로로 나온 군중은 덕수궁 대한문을 지나 장곡천정(현 소공로)을 거쳐 남산 조선총독부를 향해 행진했다. 그리고 선은전 광장(현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에 이르렀을 때에는 3,000명으로 늘어났다. 시위대가 총독부를 향해 본정통(현 충무로)으로 들어서자 일제 헌병이 이를 제지했고, 시위대와 격돌해 2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3월 1일 그날, 가장 치열했던 장소다.

주소
중구 남대문로 39 한국은행

독립선언서 인쇄
보성사 표석

조계사 후문 맞은편에 있는 수송공원에서도 독립운동의 열기를 느낄 수 있다. 3·1운동 당시 ‘조선독립선언서’ 3만 5,000장을 인쇄한 최초의 근대식 인쇄소 보성사 터가 있다. 인쇄물 운반 중 일본 형사에게 발각될 뻔하기도 했으나 족보로 위장해 위기를 넘겼다. 또 3월 1일에는 지하 신문 ‘조선독립신문’ 1만 부도 발행했다. 이후에도 일본의 눈을 피해 계속 조선독립신문을 찍어서 배포했으나 결국 발각되어 폐간됐다. 보성사도 1919년 6월 28일 밤 일본인에 의해 불태워졌다. 현재 보성사 터에는 6.35m 높이의 ‘3인의 군상과 민족정기’라는 조형물만 남아 있다.

주소
종로구 수송동 80-7 수송공원 내

이정은  사진 홍하얀

댓글쓰기

호국 보훈 추천 기사입니다